반응형
1+1+1+1 1+1+1+1 1+1×0+1=? 90%가 틀리는 문제 정답은? 완벽 해설
수학적 사고를 자극하는 간단한 연산 퍼즐이 SNS와 포털 실시간 검색어를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. “1+1+1+1 1+1+1+1 1+1×0+1=?”라는 식인데, 계산기·커뮤니티마다 12, 28, 30, 2처럼 결과가 서로 달라 논란이 이어지고 있죠.
이 글에서는 문제에 숨겨진 함정, 사칙연산 우선순위, 온라인 계산기가 28을 내놓은 이유까지 모든 해석을 정리합니다. 한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단계별 풀이, 개념 정리, 실전 팁을 제공하니 끝까지 읽어보세요.
목차
- 문제 원문 분석
- 해석 방법 세 가지
- 사칙연산 우선순위 복습
- 각 결과값의 근거 비교
- 온라인 계산기 오류 원인
- 교육적 시사점과 활용법
- 결론 및 요약 키워드
문제 원문 다시 보기
1 + 1 + 1 + 1 + 1
1 + 1 + 1 + 1 + 1
1 + 1 × 0 + 1 = ?
- 첫 줄: 1이 다섯 번, ‘+’ 네 개
- 둘째 줄: 첫 줄과 동일
- 셋째 줄: 곱셈 ‘×’가 포함된 1 + 1×0 + 1
줄바꿈을 어디까지 “연산 기호”로 간주할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집니다.
해석 ① 줄바꿈을 무시한 ‘연속 문자열’ 풀이
- 세 줄을 공백 없이 이어붙이면
- 줄 끝과 줄 시작의 두 개의 ‘1’이 붙어 11이라는 두 자리 수가 두 번 등장합니다.
1+1+1+1+11+1+1+1+11+1×0+1
- 곱셈 우선 계산
$1×0=0$ - 최종 덧셈
$1+1+1+1+11+1+1+1+11+0+1 = 30$
정답 30
인터넷 밈에서 “2 %만 맞힌다”로 알려진 결과가 바로 이 해석입니다.
해석 ② 줄바꿈을 개별 식으로 보고 합산
- 첫 줄: $1+1+1+1+1=5$
- 둘째 줄: $1+1+1+1+1=5$
- 셋째 줄: $1+1×0+1=1+0+1=2$
세 결과를 단순 더하면 $5+5+2=12$
정답 12
교과서적 사칙연산과 줄바꿈을 수평 계단식 계산으로 보는 전통적 관점.
해석 ③ 검색창·웹 계산기의 자동 파싱 결과
스마트폰에서 식을 그대로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공백을 제거하고 다음과 같이 인식합니다.
1+1+1+1+11+1+1+11+1×0+1
- 첫 줄 끝과 둘째 줄 초반이 붙어 11
- 둘째 줄 끝과 셋째 줄 초반도 붙지 않는다 → 11이 한 번만 생성
따라서
$1+1+1+1+11+1+1+11+1×0+1$
$= 28$
정답 28
네이버·다음·구글 일부 버전 계산기가 내놓는 값입니다. 줄 경계 방향에 따라 11이 한 번 만들어져 30보다 2 작습니다.
사칙연산 우선순위(BODMAS/PEMDAS) 한눈 정리
- Bracket(괄호)
- O/Drder(지수·루트)
- D, Multiplication/Division(곱셈·나눗셈)
- A, Subtraction/Addition(덧셈·뺄셈)
줄바꿈은 우선순위 규칙에 명시돼 있지 않으므로 프로그래밍 언어·계산 엔진마다 처리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.
왜 계산기가 서로 다른 답을 낼까?
- 검색창 계산기는 공백을 삭제한 뒤 파싱합니다.
- 텍스트가 14자 이상이면 “오차 가능” 경고가 뜨는 이유도 공백·줄바꿈 처리 로직 때문입니다.
- 공학용 계산기에 직접 “Enter”로 줄을 구분해 입력하면 해석 ②와 같은 12가 도출됩니다.
교육적 시사점
- 문맥과 표기법이 정답을 결정한다는 점을 보여줌
- SNS 바이럴 문제를 수업에 활용하면 곱셈 우선 규칙, 문자열 파싱 개념을 동시에 설명 가능
- 프로그래밍 초보자가
\n
(개행 문자) 처리 중요성을 체감하는 사례
실전 팁: 유사 퍼즐 해석 방법
- 숫자·기호 사이에 있는 모든 공백을 먼저 확인
- 온라인 계산 전에 메모장에 붙여넣어 줄바꿈→공백 변환된 상태를 직접 검토
- 곱셈 기호 ‘×’와 영어 형태 ‘*’를 혼용하면 해석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통일
결론
- 문제의 공식 정답은 출제 의도에 따라 다르지만, 바이럴 원문은 “공백 무시” 전제를 깔았기에 30이 가장 널리 채택됩니다.
- 다만 학습용으로는 12가, 검색창 빠른 계산용으로는 28이 함께 거론됩니다.
- 핵심은 줄바꿈·공백 처리와 사칙연산 우선순위가 결과를 결정한다는 점입니다. 퍼즐에 속지 않으려면 식을 한 줄로 명확히 재작성하는 습관을 들이세요.
반응형
'과학 수학 공학 역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마름모 넓이 구하는 공식 유도와 예시 (0) | 2025.07.24 |
---|---|
사각뿔대 수직단면 오각형 개수 문제, 수직 자르기 (0) | 2025.07.23 |
이등변 삼각형 각도 문제 x 각도. hardest easy math problem solve for x. (0) | 2025.07.21 |
창립기념일 월만 아는 a, 일만 아는 b의 정답. 문제적남자 셰릴의 생일은 언제인가? 싱가포르 중학생 수학올림피아드 문제 (0) | 2025.07.19 |
5*2=11 2*4=14 3*2=7 4*5=30 8*4=? 1 풀이와 정답 (0) | 2025.07.18 |